[NAT] NAT-PAT
2020. 1. 22. 01:25ㆍNetwork/NAT
1. NAT-PAT(Port Address Translation)
: 일반 Dynamic NAT의 한계를 극복
: 하나의 공인 IP로 다수의 사설 IP를 이용한 통신이 지원됨
※ Static NAT와 같이 사용할 경우 정의 대역이 겹치지 않게 배정(겹칠 경우 Static NAT만 동작)
2. NAT-PAT 동작 과정
3. NAT-PAT 설정
1) 사설 Network(IP 범위) 정의(ACL)
R1(config)# access-list 1 [행동] [사설 IP] [와일드카드 마스크]
2) NAT-PAT 정의
R1(config)# ip nat inside source list [ACL 번호] interface [외부 인터페이스 이름] overload
3) NAT Interface 설정
R1(config)# int [내부 인터페이스 이름]
R1(config-if)# ip nat inside
R1(config)# int [외부 인터페이스 이름]
R1(config-if)# ip nat outside
4. Port Forwarding 설정
: 공인 IP가 1개이며, NAT-PAT와 같이 사용할 경우에 사용
: 대표적으로 웹 서버 설정 시 필요 (목적지 공인 IP - Port 80 → 목적지 사설 IP - Port 80 으로 변환)
: Protocol은 대표적으로 TCP, UDP가 존재하며 해당 Protocol에 대한 Port의 설정을 통해 DNAT 설정
R1(config)# ip nat inside source static [프로토콜] [사설 IP] [사설 Port] [공인 IP] [공인 Port] extendable
[참고] Network - Practice - NAT-PAT
728x90
'Network > NA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AT] Dynamic NAT (0) | 2020.01.22 |
---|---|
[NAT] Static NAT (0) | 2020.01.22 |
[NAT] NAT 기본 설정 (0) | 2020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