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 1. 18. 16:51ㆍNetwork
계층 | 설명 | 기능 | 주소 | Protocol | 장비 |
1 계층 | 물리 (Physical) |
Bit 형태의 신호를 패턴을 부여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전송 | Cable/Hub Repeater |
1. Cable & Connector
: 네트워크에서 물리적으로 장비를 연결하는 매체
: 네트워크 장비나 컴퓨터들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송
: 네트워크 종류에 적합한 케이블을 선택해야 함
: 케이블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커넥터의 종류가 달라짐
2. LAN Cable
1) 동축 케이블 (Coaxial Cable)
: 동심원의 중심에 잇는 구리선이 매체가 되는 케이블
: 10Mbps를 지원하는 Ethernet 환경에서 사용
2) 꼬임쌍선 케이블 (Twisted-Pair Cable)
: 현재 LAN 구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로 내부에 8가닥의 구리선이 한쌍씩 꼬여져 구성되어 있음
: 각 쌍 별로 꼬아진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여 내부 구리선 간의 충돌을 방지
: 은박지의 여부에 따라 외부 저항, 단가가 달라짐
: RJ45를 이용하여 8개의 구리선을 연결 (TD : Transmit Data, RD : Receive Data)
※ RJ45 : TD+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RD+로, TD-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RD-로 데이터를 수신해야함
3) 광 케이블 (Fiber-Optic Cable)
: 빛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케이블로 코어라는 빈 유리섬유의 공간으로 빛을 전달
: 빛의 전반사 특징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며 고속, 대용량 전송에 적합
: 신호 감쇠가 상대적으로 덜하며 전자파 간섭이 거의 없음
: 설치가 어려우며 연결장치와 케이블 가격이 고가
3. WAN Cable
1) 시리얼 케이블 (Serial Cable)
: 직렬 케이블로 WAN을 구성하는 장비의 연결에 사용
: DCE (Clock Signal을 보내는 장비), DTE (Clock Signal을 받는 장비)로 나뉘어짐
2) 광 케이블 (Fiber-Optic Cable)
4. Cable 명명 법
5. Hub & Repeater
: 신호를 재생시켜 좀더 먼 거리까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비
: Hub의 경우 여러 개의 Port를 가지고 있으며, 한쪽 Port로 전달받은 신호를 모두(Flooding) 전달하는 특징을 지님
: Repeater의 경우 2개의 Port를 통해 전달받은 신호를 재생시켜 반대쪽 포트로 전달 (주로 거리 연장을 위해 사용)
꼬임쌍선 케이블에서 중요한 내용은 핀 배치에 따른 Cable의 종류
1. Straight Cable
: 핀 배열이 다른 장비끼리 연결 할 떄 양쪽 핀을 똑같이 배치 (Router-Switch, Switch-PC, Hub-PC)
: 주주초파파초갈갈 - 주주초파파초갈갈
2. Crossover Cable
: 핀 배열이 같은 장비끼리 연결 할 떄 양쪽 핀을 다르게 배치 (Router-Router, Switch-Switch, Hub-Hub, PC-PC)
: 주주초파파초갈갈 - 초초주파파주갈갈 (1-3, 2-6 배치 변경)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2 계층 (Data Link) (1) (0) | 2020.01.18 |
---|---|
[Network] 1계층 (Physical) (2) (0) | 2020.01.18 |
[Network] Network 개요 (2) (0) | 2020.01.18 |
[Network] Network 개요 (1) (0) | 2020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