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 1. 19. 00:45ㆍNetwork
1.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: 인터넷 제어 메시지로 네트워크 관리 및 오류 보고를 위해 사용이 됨
: IP의 비신뢰성, 비연결성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사용되는 IP Supported Protocol
: IP보다 상위에서 동작하는 3계층 Protocol이며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되었을 때 동작
: Message 형식으로 정보를 알림
2. ICMP 메시지 종류
: Type Field의 값을 통해 구분이 됨
: 정보 교환 및 관리 메시지 (echo - 요청/응답, Router 광고/응답, 정보 요청/응답, mask 요청/응답, 경로 추적, 등)
: 오류 보고 메시지 (목적지 접근불가, 송신 속도 낮춤, 경로 재설정, 시간초과, 등)
3. ICMP Header
: ICMP Header는 Other 메시지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지님
: 필수 Header의 크기는 8Byte로 고정되어 있으며 필수 Field는 단순하지만 ICMP 종류에 따라 추가 값이 달라짐
1) Type
: ICMP 메시지의 종류를 알려주는 값 (8번 - ICMP Echo Request, 0번 - ICMP Echo Reply, 그 외 - Error 메시지)
2) Code
: 메시지 종류에 따라 상세 원인이나 세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추가 값
: 기본값은 0이며 Type의 세부 Code가 존재시 Code값 0의 정보를 의미, 없을 시 Null을 의미
: Network 트러블슈팅시 Code값을 이용해 정보를 알아냄
3) Checksum
: ICMP Header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값
4) Other Message Specific Information
: 선택적 추가 정보가 부여되는 Field이며 메[시지 종류에 따라 필드 구성이 달라짐 (추가로 필요한 정보가 지정)
: MTU 최소 사이즈를 맞춰주기 위해 Header 뒤에 쓰레기 값을 채움
A. Error 메시지
- 오류 메시지의 경우 원본 데이터의 IP Header + Payload 중 앞의 8Byte 정보를 입력
- Echo 메시지의 경우 연속으로 여러 번 보내기 때문에 식별 값이나 순서 번호 등을 입력
- Redirect 메시지의 경우 경로 재설정 정보를 입력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4 계층 (Transport) (1) (0) | 2020.01.19 |
---|---|
[Network] 3 계층 (Network) (5) (0) | 2020.01.19 |
[Network] 3 계층 (Network) (3) (0) | 2020.01.19 |
[Network] 3 계층 (Network) (2) (0) | 2020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