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 1. 19. 01:20ㆍNetwork
1. Router 정의
: Routing을 통해 최적 경로를 찾고, Switching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장비
: Rout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결정하며, Routing Table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원하는 경로로 전달
: 결정된 경로는 Routing Table에 기록하여 관리
: Broadcast Domain을 줄이고 Network 영역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수행 (Router는 기본적으로 Broadcast 데이터 차단)
2. Router 통신 과정
: 같은 Network 영역인 경우 PC의 Routing Table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전송
: 다른 Network 영역인 경우 PC의 Gateway로 전송하여 Router의 Routing Table에서 목적지 확인 후 전송
: Router로 데이터가 들어올 때 해당 목적지 주소가 Routing Table에 없을시 폐기
3. Router Module, Interface 명명법
4. Router Memory
1) ROM
: 부팅에 필요한 Bootstrap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
2) Flash
: HDD 역할의 Memory이며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
3) RAM
: 휘발성 Memory이며 Running-Config 설정 파일에 설정한 내용을 임시로 저장
: 시스템 자체에서 관리되는 Memory
4) NVRAM
: 비휘발성 Memory이며 Startup-Config 설정 파일을 이용해 설정한 내용을 지속 저장
: 관리자가 직접 설정 및 저장해야 함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4 계층 (Transport) (2) (0) | 2020.01.19 |
---|---|
[Network] 4 계층 (Transport) (1) (0) | 2020.01.19 |
[Network] 3 계층 (Network) (4) (0) | 2020.01.19 |
[Network] 3 계층 (Network) (3) (0) | 2020.01.19 |